Git&Github

42. [Git] git stash 명령어 모음

drizzle0925 2021. 9. 9. 12:38
728x90

stash

working directory의 변경사항을 감춘다.

 

언제 사용하는가?

1. commit 하기도 삭제하기도 뭐할 때

2. 작업내용을 감추고 싶을 때

3. 브랜치 변경 시 따라오는 걸 막지 위해

# 작업내용 stash 공간에 저장
git stash
git stash save

# stash 저장 내용 확인
git stash list
stash@{0}: WIP on master: 049d078 added the index file
stash@{1}: WIP on master: c264051 Revert "added file_size"

# 가장 최신 stash 내용 적용(stash list에서 삭제되지 않는다)
git stash apply

# stash 이름(ex. stash@{2})에 해당하는 stash를 적용한다.
$ git stash apply [stash 이름]

# Staged 상태까지 저장
$ git stash apply --index

# 가장 최신의 stash 내용 삭제
git stash drop

# stash 이름(ex. stash@{2})에 해당하는 stash를 제거한다.
$ git stash drop [stash 이름]

# 가장 최신의 stash 내용을 적용하고 stash 내용 삭제
# 즉, git stash apply; git stash drop; 을 동시에 처리
git stash pop

 

stash는 버전 관리가 되고 있는 파일만 stash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.

(untracked의 경우 add를 통해서 tracted 된 상태로 만들어 줘야 사용할 수 있다.)

728x90